1. 결정분석 (DA – Decision Analysis)이란
해결을 요하는 문제 가운데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문제를 ‘결정문제’라 한다. ‘결정분석(DA)’이란 결정문제를 처리할 때 필요로 하는 유효한 논리적, 체계적인 기법을 말한다.
가. DA Statement
나. 목표의 설정 (선정기준)
다. 목표의 분류 (절대항목, 희망항목)
라. 목표의 확정
마. 대체안의 기안
바. 대체안의 평가
사. 마이너스 요인의 검토
아. 마이너스 요인에 대한 대책의 결정
자. 결론의 기술
차. Feedback 체계의 수립
2. DA (결정분석) Process별 소개
가. DA Statement
‘DA Statement’란 결정문제의 결정사항이나 결정과제를 기술하여 한정시키는 것을 말한다. ‘DA Statement’ 작성시 유의해야 할 Point는 다음과 같다.
1) 결정사항은 단일목표, 단일대상, 단일행위일 것.
2) 단순히 ‘可否’ 또는 ‘Yes or No’를 결정하는 문제일 경우 결정의 차원 또는 레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대체안이 가능하도록 DA Statement를 기술한다.
3) DA Statement는 다음 3요소로 구성된다.
- 결정목적 : ‘미국시장에 A제품을 공급하기 위하여
- 대체안 : ‘유통채널을’
- 선택행동 : ‘결정한다’ 또는 ‘구성한다’
4) DA Statement의 분리 : 문제가 커다란 경우 상황을 분리, 분해, 세분화하여 결정을 내리고 그것을 종합해서 최종적인 입안, 기안업무로 전개시킨다.
나. 목표의 설정
여기서의 목표의 설정이란 다양한 측면에서 여러가지 목표를 설정해 두는 것을 말한다. 목표의 설정은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구체적으로 다양하게 작성한다.
1) 무엇을 위해 행동하려고 하는가
2) 이 결정은 주된 목적 이외에 어떤 부차적인 목적이 있는가
3) 결정에 관한 전제조건이 있는가
4) 사람, 돈, 자원이라는 일반적 기준이외에 목적으로 상정할 수 있는 것은 없는가
다. 목표의 분류
기술된 목표를 보면 어떤 항목은 그 결정에 대하여 대단히 중요한 항목이고 다른 것은 그렇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목표의 분류’란 이들 항목 중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즉 결정상 불가결한 항목 ‘MUST’와 가급적이면 달성하면 좋은 항목 ‘WANT’로 분류하는 것을 말한다. 전자를 ‘절대목표’, 후자를 ‘희망목표 또는 상대목표’라 한다.
목표의 분류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열거된 목표를 먼저 절대목표와 희망목표로 분류한다. 이경우, 절대목표는 필수적이고, 현실적이며, 계량가능한 것이 조건이 된다.
2) 희망목표에 대한 Weight 부여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을 10으로 하여 1부터 10까지의 수치로 상대평가 한다
3) 달성목표의 Weight 부여방법은 경험을 토대로 주관에 의해 판단한다.
라. 목표의 확정
이는 설정된 목표의 재검토에 의해 ‘판단기준’ ‘선정기준’으로서의 목표항목이 전체적으로 밸런스가 잡혀 있는지와 그 객관성을 체크하는 것이 목적이다.
마. 대체안의 기안
대체안의 기안에는 2가지 유형이 있다. 그 하나는 복수의 대체안 중에서 최적의 대체안을 선정하는 것으로서 이를 ‘단순결정’이라 한다. 둘째는 대체안이 하나밖에 없거나 또는 안 그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것을 ‘입안전개’라고 한다. ‘대체안’이란 말은 DA Statement의 내용에 따라 ‘후보’, ‘안’, ‘방침’, ‘계획’ 등의 말로 바꿀 수 있다.
‘입안전개’는 단순한 대체안의 선정과는 달리 창조성이 요구된다. 이경우 사전에 설정된 목표는 방법론을 생각함에 있어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한다.
바. 대체안의 평가
‘대체안의 평가’는 복수의 안 가운데서 최적의 것을 선정하는 분서이다. 각 대체안이 절대목표를 충족시키고 있는가 어떤가 그리고 달성목표는 어느정도 만족시키고 있는가를 판별하고 그것들을 종합하여 각각의 대체안을 비교, 평가한다.
사. 마이너스요인의 검토
최종결정을 내리기 전에 최적안이라 생각되는 것의 리스크, 위험도를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이같은 마이너스 요인을 평가할 때에는 그것이 발생할 확률(Probability)이 어느정도인지와 만약 발생할 경우 그 영향(Seriousness)이 어떠한 가를 평가한다. 이 P와 S는 10점척도를 사용할 수도 있고 H, M, L (High, Medium, Low)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아. 마이너스 요인의 대책 설정
DA Statement의 결론으로서 어떤 결정에 대한 실행안의 효과적인 전개를 위한 치밀한 행동계획 수립차원에서 P(Probability)와 S(Seriousness)를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자. 결론의 기술
‘결론의 기술’은 설정된 목표의 충족도 ‘마이너스 요인의 검토’,’마이너스 요인 대책 설정’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최종안을 종합할 때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결정문제 발생의 배경
2) 결정문제 Statement화의 적절성
3) 최종결론에 이르기까지의 논리적 합리성 여부
4) 환경변화를 대응책에 편성하였는지 여부
차. 피드백 체계의 확립
의사결정자가 곧 실행책임자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결정자는 그 결정의 최종 실시성과에 대해서도 책임을 진다. 따라서 ‘잠재적 문제분석(PPA)’에 의해 실시계획을 확고히 하는 ‘관리시스템’을 만들어 자동적으로 피드백이 이루어 지도록 만들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결정분석 Flow Chart
_SK아카데미 HRD Reference Book
'문제해결_의사결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rce-Field Analysis (0) | 2021.09.08 |
---|---|
Kepner-Tregoe 문제해결 (잠재적 문제분석 PPA - Potential Problem Analysis) (0) | 2021.09.06 |
Kepner-Tregoe 기법 (문제분석,PA) (0) | 2021.09.06 |
Kepner-Tregoe 기법 (상황분석, SA) (0) | 2021.09.06 |
브레인라이팅 기법 (Brain Writing) (0) | 2021.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