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시스템 사고의 원칙 (Systems Thinking)
- 문제와 관련된 모든 것은 상호 관련되어 존재한다. 따라서 문제의 부분보다는 전체를 보는 것이 문제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Systems Thinking의 원칙은
모든 것은 그것만으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뛰어난 문제의 해결책이나 예방법은
문제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간의
상호관계나 그 중요성을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 문제를 풀어 나가는 과정도 하나의 시스템이다. 문제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가지 요소를 끄집어 내어 그것을 바꿔 보거나, 본래대로 다시 배치해 보거나 하여 해결책을 만들어 낸다. 시스템을 다룰 때에는 우선 그 기본적인 요소와 차원을 목록으로 작성한다. 다음에 이들 요소에 영향을 주고 있는 다른 요소도 목록으로 작성한다. 이렇게 해서 두가지 내지는 그 이상의 목록을 작성한다. 이와 같이 정리된 목록을 Matrix로 만들어 파악하면 복잡한 요소간의 상호관계가 어느 정도 한눈에 들어오게 된다.
- Matrix는 요소 간의 관계와 그 상호의존성을 명백히 해줄 뿐 아니라, 필요한 요소들을 빼놓지 않고 모두 열거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시스템 매트릭스>

▶ System의 기본적 구성요소
1. 목적(Purpose): 임무, 목표, 수요, 주된 관심사, 기능 등이다.
2. 인풋(Input): 작업과 전환 또는 처리가 이루어질 때 관련되는 물건, 정보, 사람 등.
3. 아웃풋(Output): 인풋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건, 정보, 사람, 서비스 등.
4. 프로세스(Process): 인풋에서 아웃풋을 만들어가는 단계에서의 변경, 처리, 단계나 사건의 순서 등.
5. 환경(Environment): 물리적 및 사회적인 요인 또는 다른 요소가 작동할 때 그 주위를 둘러싼 상황.
6. 인적매체(Human Agent): 아웃풋의 일부가 되지 않는 프로세스의 단계를 수행할 때 관여하는 사람들.
7. 물적매체(Physical Agent): 아웃풋으로 나오지 않는 프로세스 단계에서 사용되는 것.
8. 정보매체(Information): 아웃풋의 일부가 되지 않고 프로세스 단계를 지원하는 지식이나 데이터.
▶ System의 Hopper 모델

- HRD Reference Book by SK아카데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