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보다 더 뛰어난 프레젠터가 되는
유일한 방법은 연습하는 것이다.
이 세상 어느 누구도 노력하지 않고
어느날 갑자기 뛰어난 사람이 된 경우는 없다.
뛰어난 프레젠터가 되려면
그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아낌없이 투자하라.
탁월한 프레젠테이션의 요건에는 게임계획(game plan)과 연습 스케줄이 포함되어야 한다. 프레젠테이션 준비는 3가지 단계를 거친다.
준비 1단계 - 목표 설정
프레젠터가 원하는 것, 프레젠테이션을 기획한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기준으로, 양자의 진지하게 논의하여 목표를 설정하라.
■ 프레젠테이션이 끝났을 때 청중이 알아야 할 것은 무엇인가?
■ 청중이 핵심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 어떻게 해야 청중이 시간을 아까워하지 않을 것인가?
■ 프레젠테이션 후, 청중이 어떻게 변하길 바라는가?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프레젠테이션이 달성해야 할 목표에 부합하는 핵심 어구를 도출해야 한다. 핵심 어구를 정 하는 데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기 전에는 자료나 사진 등을 수집하거나 취합하지 마라.
준비 2단계 - 세부사항
적절한 핵심 어구를 정한 후, 앞서 말한 16개의 슬라이드 준비에 들어간다.
■ 흥미롭고 재미있는 제목과 핵심 어구를 정한다.
■ 핵심 어구를 3가지 세부 보조 어구로 쪼갠다.
■ 각 보조 어구에 들어가는 데이터와 정보, 첨부 이야기에 대해 논의한다.
■ 각각 슬라이드를 만든다.
■ 청중과 어떻게 관계를 형성할지, 그리고 프레젠테이션이 진행되는 동안 그 관계를 어떻게 더 심화시킬지 논의한다.
■ 프레젠테이션 내용이 모두 구성되면, 강렬한 시작과 마무리에 대해 논의한다. 시작과 마무리에 관련된 슬라이드는 존재하지 않지만, 스크린 상의 핵심 어구를 기준으로 이 두 가지를 흥미진진하고 매력적으로 만드는 방법을 찾는다.
■ 제목을 다시 한번 살펴본다. 청중이 프레젠테이션 장소에 도착하여 가장 먼저 보게 되는 것이 이 핵심 어구임을 유념한다. 역동적인 제목은 청중으로 하여금 지금까지 시간만 낭비했던 개성 없는 프레젠테이션이 아니라 자신들의 경력에 핵심적인 무엇인가를 전달해줄 수 있는 프레젠테이션임을 넌지시 일러줄 수 있다. 올바른 제목을 정하려면, 통찰력과 열정이 필요하다.
준비 3단계 - 연습
프레젠테이션 연습에는 최소한 2일 정도가 필요하다. 여기서 핵심은 연결이다. 즉 프레젠터는 모든 뉘앙스를 이해하고, 프레젠테이션 과정에서의 썰물과 밀물 주기를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아마도 프레젠터들은 점점 더 강도를 더해가는 프레젠테이션을 원할 것이다. 물론 이렇게 되려면 연습이 필요하다. 우연히 그렇게 되는 경우는 절대 없다. 생각과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방식과 과정을 시각화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모든 슬라이드를 한번씩 대충 보는 것은 연습이 아니다. 방안에 혼자 있지만, 청중이 있는 것처럼 큰 소리로 말해야 한다. 프레젠테이션에서 쓸 노트와 카드, 관련 자료를 그대로 사용하라. 컴퓨터와 프로젝터도 마찬가지이다. 프레젠테이션에 쓰이는 모든 것의 안과 밖을 확실하게 장악해야 한다.
48시간 안에 최소한 세 번을 전체적으로 리허설하라. 그런 후, 프레젠테이션 전날 밤에 다시 전체를 세 번 연습하라. 자정 무렵에 몰아서 하지 말고 초저녁부터 일찍 시작해야 한다. 6번의 리허설을 통해 전체 내용을 명확히 파악하면, 큰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당일, 한번 더 연습하라. 충분한 시간과 공을 들여 연습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임무를 달성해야 한다. 마지막은 컴퓨터와 프로젝터를 가동시킬 만큼 충분히 일찍 현장에 도착하여, 모든 것이 이상없는지 최종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프레젠테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A에서도 가르쳐 주지 않는 프레젠테이션- 2.프레젠테이션의 구조와 조직 (0) | 2021.10.26 |
---|---|
MBA에서도 가르쳐 주지 않는 프레젠테이션-1.프레젠테이션을 시작하기 전에 (0) | 2021.10.26 |
설득력을 높이는 프레젠테이션 9단계_8. 강렬함으로 포장하라. (0) | 2021.10.10 |
설득력을 높이는 프레젠테이션 9단계_7. 식상한 표현을 던져버려라. (0) | 2021.10.10 |
설득력을 높이는 프레젠테이션 9단계_6. 숫자 사용을 줄여라. 가능하면 쓰지 마라. (0) | 2021.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