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오늘날 기업의 성공은 갈수록 무형 자산의 활용에 달려 있다. 이 같은 무형 자산 가운데서도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의 인력이다. 인력은 회사에서 빛을 보지 못하고 있는 가장 큰 자산이자, 경쟁력 있는 실적이 가장 크게 창출될 수 있는 영역인 경우가 많다. 인력의 기여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기업은 세 가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① 관점의 과제
인력을 최소화해야 하는 비용으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잠재적인 기여도를 중심으로 봐야 한다.
② 척도의 과제
전통적인 벤치마킹 척도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개선실적을 구별해주는 평가기준을 사용한다.
③ 집행의 과제
라인 관리자(Line Manager : 제조업에서는 일반적으로 생산라인이 있고 생산라인을 관리하는 직책을 라인장, 라인 관리자 등으로 통칭한다. 라인 관리자의 업무는 라인의 생산 계획, 실적 관리, 라인의 생산 효율, 생산성 관리, 기타 라인 소속인원의 근태관리 포함 인사 고과까지도 일부 관리를 담당한다)와 인력담당자 양자가 모두 인력의 질과 실적에 공동 책임을 지도록 한다.
현실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이는 기업이 한 가지 전략만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세 가지 전략과 또 이에 상응해 각 전략의 성공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세 가지의 성과기록표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Mark Huselid, Brian Becker, and Richard Beatty, "The Workforce Scorecard"
728x90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적자본관리의 두번째 과제 - 평가 기준(척도) (0) | 2021.12.05 |
---|---|
인적자본관리의 첫번째 과제 - 관점 변화 (0) | 2021.12.05 |
혁신을 이끄는 5가지 전략 - 5. 조직 정비 (0) | 2021.11.15 |
혁신을 이끄는 5가지 전략 - 4. 혁신 팀 (0) | 2021.11.15 |
혁신을 이끄는 5가지 전략 - 3. 혁신 챔피언 (0) | 2021.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