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해결_의사결정 32

Process Mapping

Process Mapping 기법은 업무 프로세스 상에서 일어나는 제반 활동과 정보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프로세스와 관련된 제반 관리활동 및 개선활동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우선 그 프로세스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 Process Mapping 기법이다. 즉 현재 업무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세부활동의 분석을 통해 개선 필요점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바람직한 업무수행 프로세스를 시각적인 Map으로 그리는 기법이다.

Tree Diagram

Tree Diagram은 ‘Structured Tree 기법’이라고도 불리는 기법으로서 어떤 주제나 문제를 작고, 다룰 수 있는 문제들로 체계적으로 세분화하거나, 문제의 근본원인을 명확히 하기 위해 사용한다. Tree Diagram과 Fishbone 기법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문제해결과정에서 문제를 세분화하고 명확히 정의하는 단계에서는 Tree Diagram이, 문제의 근본원인을 구명하는 단계에서는 Fishbone 기법이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Chart의 완성된 모양이 나무 가지가 뻗쳐 있는 모습과 유사하다 하여 Tree Diagram이라 불리운다. ■ Application Guide Tree Diagram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문제를 체계적으로 세분화하거나 문제의 근본원인을 구명..

Pay-Off Matrix (비용-효과분석)

Pay-Off Matrix는 Ranking Technic 중 하나로서 문제해결 수행 중에 맞닥뜨리는 선택의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이다. Pay-Off Matrix는 팀과 개인의 이슈의 중요성, 최고의 해결안, 실행과정 등에 관한 일관성 있고 목적지향적인 결정을 돕기 위해 전개된다. 이를 활용하면 설명할 필요가 있는 문제에 대해 어떻게 우선순위를 정할 것인지 또는 대안들 중에서 어떻게 최적의 안을 선택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대안은 최소의 노력/비용으로 최대의 성과를 얻는 것이며, 비중이 작은 이슈에 대해서는 아예 시간과 노력의 투입을 하지 않는 것이 될 것이다. ■ Application Guide Pay-Off Matrix는 문제해결의 과정에 서 무언가 선택이 필요한..

일처리 5단계 요령_SK

경영활동은 곧 문제해결과정이다. 따라서 일상의 경영활동 수행에 가장 기본적인 가이드 역할을 하는 일처리5단계 요령은 넓은 범주에서 매우 효과적인 문제해결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인 문제해결 기법은 바라는 상태와 현재상태의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하는 갭을 메우기 위한 한시적인 활동인데 반해 일처리 5단계 요령은 일을 중심으로 한 모든 요소를 대상으로 그것들이 항상 최상의 상태로, 마땅히 있어야 할 모습 그대로 작용하도록 하기 위한 일상적인 활동이라는데 차이가 있다. ​ - 일처리 5단계란 일을 빈틈 없고 야무지게 하기 위해 거쳐야 할 다음 5단계를 말한다. ​ (1) 입체적 Location 파악 (2) KFS(Key Factor for Success = 이윤극대화) 추출 (3) 목표수준 설정 (..

Ranking Technics

문제해결 과정에서 문제해결의 당사자들은 다양한 단계에서 상충되거나 또는 집중점이 상이한 여러가지 안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만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Ranking Technic 은 이와 같이 선택의 장면에서 문제해결 당사자들이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향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제반 기법들을 말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체 문제해결 과정에서 보면 그리 중요하지 않은 단계에서 구성원간의 서로 다른 인식으로 인하여 특정 의사결정 사항에 대한 이견이 발생하고 이것이 건설적으로 해결되지 못하여 시간을 허비하고 감정적인 갈등까지 유발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소모적인 갈등과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게 해주는 간단한 우선순위 기법들로서는. ‘Green Dot Technic’, ‘..

Affinity Diagram (KJ기법)

Affinity Diagram은 특정 주제에 대하여 구성원 모두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 취합하여관련성이 있는 아이디어끼리 한데 묶어 분류, 정리함으로써 문제해결의 방안을 찾아내는기법으로서 일본의 인류학자 Kawakita Jiro가 1960년대에 고안하였음. 아이디어의 도출과 Grouping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으로서 창안자의 이름을 따 K-J 법으로도 불리우며 1970년대 이후 일본에서 QC운동의 기법으로서 급속히 확산되어 현재에까지 널리 사용됨. ■ Application Guide 주로 문제해결 과정의 초기 문제의 명확한 정의 및 문제의 현상을 List-up하는 과정에서 활용될수 있다. ■ 진행 Flow ■ Flow별 세부진행 요령 1단계 : 제기된 주제에 대한 아이디어를 메모한다. 1. 진..

Fishbone Diagram (Fishbone 기법)

문제해결에 관련된 팀원들에게 해당문제의 원인이나 전개과정, 그리고 해결책에 관련된 내용을 스토리보드화하여 그림이나 도형으로 설명하고 인식의 공유를 이루어 내는 것은 무엇보다 효과적이다. “한장의 그림은 천마디 말보다 낫다( A Picture is worth a Thousand Words)”는 표현이 이를 잘 설명해 주고 있다. . Fishbone기법은 다른 말로 ‘Cause & Effect Diagram(인과관계 도표)’ 라고도 불리며 문제의 근본원인을 찾아 나가는 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림이 마치 물고기의 뼈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하여 Fishbone Diagram이라고 한다. ​ 이 기법은 문제의 잠재원인을 순서대로 범주화하고 그 범주에 속하는 프로세스상의 문제들을 모두 기술한 뒤에 ..

의사결정 Worksheet: 절대적준거평정법 + 준거평정법

‘절대적 준거평정 (Absolute Criteria Rating)기법’과 ‘준거평정(Criteria Rating)’기법의 특성을 결합한 것 Decision Making Worksheet은 ‘의사결정 Worksheet’이라고도 불리우며 여러가지 대안들 중에서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적절한 도움과 기준을 제시하는 유용한 기법이다. 이 문제해결 기법은 ‘절대적 준거평정 (Absolute Criteria Rating)기법’과 ‘준거평정(Criteria Rating)’기법의 특성을 결합한 것으로서, 절대적 필요조건, 판단/선택의 Filter, 선택준거들을 Screening하는데 유용한 Tool로서 활용될 수 있다. ​ ■ Application Guide ​ Decision Making Worksheet는 상술한 바와..

절대적 준거평정법 (Absolute Criteria Rating)

Absolute Criteria Rating 기법은 우리말로 ‘절대적 준거에 의한 평정법’이라고도 불리우며, 여러가지 잠재적 해결안들 중에서 필수적이고 절대적인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해결안 후보를 제외시켜 나가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오직 절대적 준거들을 충족시키는 안들만이 이후의 고려대상으로 남게 되는 것이다. 즉 절대적 준거에 의한 평정은 준거평정을 하기 전에 거쳐야 할 단계인 것이다. ■ Application Guide Absolute Criteria Rating 기법은 문제해결 과정에서 특히 해결안의 선택과정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기법이다. 다음의 예들이 Absolute Criteria Rating 기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우이다. 1. 해결안이 반드시 충족시켜야 할 절대기준을 ..

준거평정법 (Criteria Rating)

여러가지 의사결정 선택 대안 과정에서 명확히 정의된 준거를 마련하여 각각의 준거에 대한 각 대안들의 점수를 매겨 합계를 내는 방식으로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문제해결 기법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의사결정 과정의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내려진 결정에 대해서도 집단적 합의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 Application Guide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