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해결_의사결정 32

PSP 기법의 단계별 세부 내용

1단계: 문제를 규명하고 선정한다. 가. Overview 이 단계는 문재해결을 위한 제반 프로세스의 기초가 되며 전체 프로세스 중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이 단계가 향후 전체 활동의 방향을 결정짓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많은 개인/조직들은 그들이 PSP를 시작할 때 문제영역 또는 문제의 실마리를 이미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내용들을 명시적으로, 구체적으로 표출시키는 것이 바로 이 단계의 과제이다. (예: 소비자 만족도 저하, 품질 저하 등) 우선 문제영역이 규명되고 나면 하나의 문제 진술서가 작성된다. 문제해결 노력을 잘 조절하기 위해서는 문제 진술서가 반드시 '현재상태'의 조건과 '희망상태'의 조건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이 문제 진술서는 팀의 문제해결 방향 전체를 결정짓기 때문에 반드시 구체적..

문제해결의 6단계 - PSP(Problem Solving Process)기법

PSP Model은 GE에서 사용중인 제반 문제해결, Project Management 기법을 보완, 통일시킨 GE의 대표적인 문제해결 프로세스이다. ​ 1. Process Overview(문제해결 6단계) ​ PSP Process는 총 6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1단계부터 6단계까지의 PSP는 순서적이지만 일사천리로 1단계에서 6단계까지 진행하여 끝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부분은 앞 단계를 재점검하여야 한다. 또한 4-6단계는 PMP(Project Management Process)와 공통의 스텝을 공유한다. 1단계: 문제의 확인과 선정 변화시키고자 하는 문제의 선정과 구체적인 표현 (기술) 이 단계는 문제해결을 위한 모든 프로세스의 기초가 될 것이다. 이 단계가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왜냐하면 이 단..

Force-Field Analysis

이 기법은 미국의 사회학자 Kurt Lewin이 최초로 개발한 기법으로서 ‘場 이론’, ‘세력권 분석기법’ 등의 명칭으로 불리우며 널리 활용되고 있다. ‘Force-Field Analysis’는 “모든 작용에는 반드시 똑같은 크기의 반작용이 있다”라는 물리학의 기초를 두고 있다. 이같은 물리학의 법칙을 사회현상과 관련된 문제해결 과정에 적용한 것이다. 즉 모든 문제 내부에는 긍정적인 힘과 부정적인 힘이 동시에 존재하며 이 둘이 끊임없이 활동하면서 밀고 당기는 과정이 반복된다는 것이다. 이 긍정적인 요인은 ‘추진력(Driving Force)’라 하고 부정적 요인을 ‘억제력(Restraining Force)’이라고 한다. 현상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추진력’을 강화하거나 ‘..

Kepner-Tregoe 문제해결 (잠재적 문제분석 PPA - Potential Problem Analysis)

1. 잠재적문제 분석 (PPA – Potential Problem Analysis)이란 ​ 어떤 기업이나 부문이 실현하고자 하는 것, 즉 전략계획, 프로젝트, 또는 사업 그 자체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환경변화 또는 기타 요인에 의해 그 달성을 위태롭게 하는 장애요인을 미리 상정, 예측해서 사전에 무엇인가 대책을 강구해 둘 필요가 있다. 이같은 문제를 ‘잠재적 문제’라고 한다. 잠재적 문제를 피해 닥쳐올 문제를 예측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PPA’라고 한다. PPA는 다음과 같이 ‘PPA Statement’로부터 시작하여 ‘예방대책’과 ‘긴급시 대책’의 설정과 ‘피드백 체계의 수립’까지의 일련의 Process로 이루어 진다. 가. PPA Statement 나. 실시계획의 작성 다. 중대영..

Kepner-Tregoe 문제해결기법(결정분석, DA)

1. 결정분석 (DA – Decision Analysis)이란 해결을 요하는 문제 가운데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문제를 ‘결정문제’라 한다. ‘결정분석(DA)’이란 결정문제를 처리할 때 필요로 하는 유효한 논리적, 체계적인 기법을 말한다. 가. DA Statement 나. 목표의 설정 (선정기준) 다. 목표의 분류 (절대항목, 희망항목) 라. 목표의 확정 마. 대체안의 기안 바. 대체안의 평가 사. 마이너스 요인의 검토 아. 마이너스 요인에 대한 대책의 결정 자. 결론의 기술 차. Feedback 체계의 수립 2. DA (결정분석) Process별 소개 가. DA Statement ‘DA Statement’란 결정문제의 결정사항이나 결정과제를 기술하여 한정시키는 것을 말한다. ‘DA Statement’ 작..

Kepner-Tregoe 기법 (문제분석,PA)

1. 문제분석, PA (Problem Analysis) 이란 해결을 요하는 문제 가운데 현상의 근본적 원인을 구명할 필요가 있는 문제를 ‘원인문제’라 한다. 이 같은 원인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 가장 효과적이고 논리적인 해결방법을 'PA(문제분석)'이라 한다. ‘PA’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PA Statement’로부터 시작하여 ‘가장 가능성이 높은 원인’을 찾아내고 ‘유효한 대책’을 강구하여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가. PA Statement 나. 명확화 다. 구별점의 발견 라. 변화의 발견 마. 원인의 상정 바. 원인의 구명(검증) 사. 대책의 설정 아. 피드백 체계 수립 ​ ​ 2. PA(문제분석) Process별 내용 ​ 가. PA Statement 이는 문제의 현상이 어떤지 구체적..

Kepner-Tregoe 기법 (상황분석, SA)

KT 문제해결기법은 1958년 미국의 RAND Corporation에서 함께 일하던 Kepner, Tregor 박사가 NASA의 의뢰를 받아 합리적인 문제해결의 절차로 개발한 기법. ​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경영이나 관리활동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4가지 영역으로 분류함. ​ 1. 상황을 파악하는 영역: 상황분석 (SA - Situational Appraisal) 2. 문제발생의 원인을 구명하는 영역(PA - Problem Analysis) 3. 의사결정에 관련된 영역(DA - Decision Analysis) 4. 미래에 발생가능한 문제와 관련된 영역(PPA - Potential Problem Analysis) ​ 1. 상황분석 (SA - Situational Appraisal)이란 일상적으로 직면..

브레인라이팅 기법 (Brain Writing)

■ 개요 Brain Writing 기법은 Brainstorming 기법이 지닌 단점을 보완하기위해 개발된 기법이다. Brainstorming 기법은 자칫 목소리가 큰 사람이나 발언이 많은 사람에게 이끌려갈 가능성이 크다. 발언이 적은 사람이나 내성적인 사람은 자기의견을 충분히 발휘하기가 어렵게 된다. 그렇다고 이들에게 아이디어가 없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독특한 아이디어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Brain Writing은 이 같은 Brainstorming의 단점을 제거하고자 하여 독일의 Holliger가 창안한 기법이다. ■ Brain Writing 기법의 특징 Brain Writing 기법은 초기에는 6-3-5법이라고 불리었다. 6-3-5는 다음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6 : 6인의 참가자가..

브레인스토밍 기법 (Brainstorming)

■ 개요 이 기법은 1940년대 미국의 광고업자 알렉스 오스본이 아이디어를 내기위한 일종의 회의방법으로 고안해 낸것으로서1953년 그의 저서 ‘Applied Imagination ;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Problem Solving’을 통해 널리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Brainstorming이란 말의 원래 의미는 정신병 환자의 두뇌 산란상태를 말하는 것인데 이것이 그의 저서를 통해 회의에서의 아이디어 발산법으로 차츰 바뀌게 된 것이다. ■ Application Guide 문제의 원인분석, 해결안의 도출, 실행계획의 수립 및 평가기준 개발 등 문제해결 전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다. ■ Brain Storming의 규칙 1. 비판엄금 ▶ Brainstorming..

Time Chart

■ 개요 Time Chart는 주어진 기간 동안 일어난 특정 사건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Time Chart는 두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보여줄 뿐 아니라 특정한 상황의 발생을 요약해서 보여주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Time Chart는 시간의 추이에 따른 상황의 변화양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 Application Guide Time Chart는 일정기간 동안 문제상황이 벌어지는 상황에 대한 계량적인 파악을 통해 문제의 원인을 유추해 내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Time Chart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문제해결 과정의 초반기에 문제해결방안의 수립에 도움을 주는 적절한 Data를 수집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Time Chart를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1. 문제해결 초반기에 있어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