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지식창고 74

혁신을 이끄는 5가지 전략 - 3. 혁신 챔피언

어떤 혁신이든 앞으로 나아가려면, 챔피언이 필요하다. 챔피언은 고객과 협력하여 금전적, 관료적, 정치적, 인간적이고 기술적인 난관을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 시장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인재를 말한다. 혁신에 챔피언이 없다면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모든 프로젝트는 챔피언을 필요로 한다. 일상의 업무 때문에 어쩔 줄 모르는 사람보다는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는 충분한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이 그 적임일 것이다. 훌륭한 챔피언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특징을 갖추고 있다. 챔피언은 스스로가 혁신자다. 그들은 다섯 가지 혁신 전략을 이해한다. 챔피언은 빌더(Builder)이다. 그들은 열정적이며 주위 사람들이 새로운 방향을 찾아 다른 방법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

지식창고 2021.11.15

혁신을 이끄는 5가지 전략 - 2. 가치 창조

모든 새로운 상품은 기존 상품들과 비교했을 때, 부가적인 고객 가치가 얼마나 더 많이 창출되는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가치제안(Value Proposition)을 필요로 한다. 설득력 있는 가치제안을 도출하는 데 정통해야 하고, 이를 현명하게 그리고 통찰력 있게 달성하기 위 모든 사용 가능한 도구를 활용하라. 새로운 혁신이 기존 경쟁사들이 이미 수행하고 있는 가치보다 더 나은 가치를 추가할 수 없다면, 당신은 이미 죽은 것이나 진배없다. 유용한 가치 제안을 도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4가지 요소를 생각하는 것이다. ​ 즉, 가치제안은 다음 네 가지 질문에 답을 하는 것이다. ① 시장의 니즈는 무엇인가? ​ 현재 시장의 니즈, 즉 당신이 준비하고자 하는 시장 니즈는 무엇인가? 제공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

지식창고 2021.11.15

혁신을 이끄는 5가지 전략 - 1. 주요 니즈(Needs)

고객이 원하는 것을 창조하기 위한 다섯 가지 전략! 혁신이란 간단히 말해 새로운 고객 가치를 창조하고 이를 시장에 전달하는 능력이다. 혁신을 위한 시작점은 ‘흥미롭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느냐’와는 아무 상관이 없다. 대신 성공적인 혁신을 위한 시작점은 언제나 세 가지 핵심 질문에서 비롯된다. “고객이 누구인가?” “현재 당신이 창출하는 고객 가치는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측정하는가?” “향후 더 많은 고객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당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혁신은 무엇인가?” 위 세 가지 질문에 답을 하려면, 그에 대한 개념과 도구를 제공해주는 다섯 가지 전략이 필요하다. 혁신의 다섯 가지 전략은 다음과 같다. ① 핵심 니즈(Needs) : 내가 관심 있는 것이 아닌 고객의 실질적 니즈를 위해 일하..

지식창고 2021.11.15

카네기 인간관계의 기술 - 3. 당신의 생각대로 상대방을 설득하는 방법

1. 논쟁을 피하라. 원칙3-1. 논쟁에서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것을 피하는 것이다. The only way to get the best of an argument is to avoid it. 2. 적을 만드는 확실한 방법과 이것을 피하는 방법. 원칙3-2. 상대방의 견해를 존중하라. 결코‘당신이 틀렸다”고 말하지 말라. Show respect for the other person’s opinions. Never say,“you’re wrong” 3. 당신이 잘못했으면 그것을 인정하라. ​ 싸움을 해서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것은 없다. 그러나 양보한다면 당신이 기대한 것 이상을 얻을 수 있다. ​ 원칙 3-3. 잘못을 저질렀으면 즉시 분명한 태도로 그것을 인정하라. Admit yo..

지식창고 2021.11.06

카네기 인간관계의 기술 - 2. 남에게 호감을 사는 6가지 방법

1. 이 방법을 실천하면 당신은 어느 곳에서나 환영받는다. 다른 사람이 당신을 좋아하기를 바란다면, 또한 진실한 우정으로 그 사람을 도와주고 싶다면 꼭 기억해 두도록 하라. 원칙 2-1. 다른 사람들에게 순수한 관심을 기울여라. Become genuinely interested in other people. 2. 첫인상을 좋게 만드는 간단한 방법을 알려 드릴까요 ? 원칙 2-2. 미소를 지어라. Smile 3. 이것을 행하지 않으면 곤란에 처한다. ​ 이름은 개개인을 차별화시켜 주며, 다른 많은 사람들 중에서 독특한 존재로 만들어 준다. 원칙 2-3. 당사자들에게는 자신의 이름이 그 어떤 것보다도 기분 좋고 중요한 말임을 명심하자. Remember that a person’s name is to that..

지식창고 2021.11.06

카네기 인간관계의 기술 - 1.사람을 다루는 기본적 기술

1. "꿀을 얻기 원한다면 벌통을 걷어 차지 마라". 원칙 1-1. 비난이나 비평, 불평하지 말라. Don’t criticize, condemn or complain. 사람들을 비난하기 이전에 그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자. 그들이 "왜 그런 행동을 했을까?"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하자. 그것은 비판 보다는 훨씬 유익하고 흥미 있는 일이다. 또한 그것은 동정과 관용과 우애를 길러 준다. ​ "하나님께서도 인간이 죽을 때까지 인간을 심판하지 않는다". 그런데 우리들은 왜 심판하려 하는가? ​ 2. 사람을 다루는 비결 원칙 1-2. 솔직하고 진지하게 칭찬을 하라. Give honest, sincere appreciation. 내가 만난 모든 사람들은 어떤 면에서 나보다 우수한 사람들이며, 그점에서 나는 누구에게서나..

지식창고 2021.11.06

비즈니스 씽킹 - 8. 문제의 근원에 천착하고 있는지, 아니면 징후에만 매달리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라.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실행에 옮기기 전 왜 이런 문제를 제기하게 되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해야 한다. 이것이 자신이 제시한 해결방안이 문제의 본질을 다루고 있는지 아니면 현상에 집착하고 있는지를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왜"라고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어렵지만 필수적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한다. ​ 잘못된 해결방안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의도하지 않았던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문제점들이 지속되도록 방치하게 될 수도 있다. 소중한 시간과 인력, 자본을 낭비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서라도 "왜"라는 의문점은 다음 4단계를 밟게 된다. 1. 자신이 이미 설정해 놓은 근본 쟁점들을 다시 되짚는다. 2. 각각의 쟁점들의 경우 특정 쟁점들에서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

지식창고 2021.11.02

비즈니스 씽킹 - 7. 이전까지 시도하지 않은 것들을 발견하라.

자신이 제시한 사업계획의 모든 것이 만족스럽게 보일 경우 자신은 아무런 염려를 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구체적인 행동에 들어가기 전 일단 멈춰 서서 자신에게, "만약 이것이 진정으로 훌륭한 계획이라면 왜 이전에는 시행되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을 제기하라.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다. BusinessThinking의 본질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한다는 것보다도 현실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뤄야 한다는데 있다. 어떤 사업계획안이 매력적인 투자수익을 약속한다면 이 계획을 즉각 시행하고자 하는 유혹은 당연하다. 때때로 이러한 유혹은 기업으로 하여금 자신의 자원을 필요이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치명적인 실수를 초래한다. 때로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은 사업계획안에 대해 직접적으로 의..

지식창고 2021.11.02

비즈니스 씽킹 - 6. 솔루션으로부터의 파급효과를 생각해 보라.

모든 비즈니스상의 행위는 기업 외부에까지 파급효과를 가져다 주기 마련이다. 따라서 일단 멈춰서서 현재 논의되고 있는 사업계획이 얼마나 큰 반향을 일으킬 것인가를 고려해봐야 한다. 실제 많은 사람들은 어떤 결정을 내릴 때 장기적인 안목을 감안하는 경우는 드물다. 통계에 따르면 사업가들 중 7%만이 결정을 내릴 때 자신의 동료와 상의하거나 장기적인 우선순위를 감안한다고 한다. 현대에 있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정된 분야에서 전문기술을 연마한다. 일부의 사람들만이 사업전반에 대해 우려하고 있음은 상식으로 통한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 역시 자신과 같은 행동을 취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자신의 전문적인 이해만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있다. 너무 좁은 기능에만 한정하여 생각할 경우 초래되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부 ..

지식창고 2021.11.02

비즈니스 씽킹 - 5. 구체적인 사업계획의 이해득실을 계산해보라.

기회가 왔을 때 일단 어느 정도의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는지, 그리고 얼마만큼의 대가가 따르는지 계산해 본다. 복잡한 재무분석에 편안한 마음을 갖고 임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중요한 점은 항상 단순성을 유지야 한다는 사실이다. 여기에서 요구되는 점은 결정적인 증거를 대략적인 수치로 변환하는 일이다. 파급효과를 따지기 위해 유력한 증거자료를 선별하고 5가지의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아내야 한다. 1. 어떤 방식으로 측정이 돼야 할 것인가? 2. 현 상태는? 3. 당신의 해결방안이 적용됐을 때 어떤 사태가 전개될 것인가? 4. 잠재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이득은? 5. 어느 시점에서 수익을 기대할 것인가?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단순화해야 한다는 점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리고 가능한 한 조심스러운 태..

지식창고 2021.11.0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