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231

Kepner-Tregoe 문제해결기법(결정분석, DA)

1. 결정분석 (DA – Decision Analysis)이란 해결을 요하는 문제 가운데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문제를 ‘결정문제’라 한다. ‘결정분석(DA)’이란 결정문제를 처리할 때 필요로 하는 유효한 논리적, 체계적인 기법을 말한다. 가. DA Statement 나. 목표의 설정 (선정기준) 다. 목표의 분류 (절대항목, 희망항목) 라. 목표의 확정 마. 대체안의 기안 바. 대체안의 평가 사. 마이너스 요인의 검토 아. 마이너스 요인에 대한 대책의 결정 자. 결론의 기술 차. Feedback 체계의 수립 2. DA (결정분석) Process별 소개 가. DA Statement ‘DA Statement’란 결정문제의 결정사항이나 결정과제를 기술하여 한정시키는 것을 말한다. ‘DA Statement’ 작..

Kepner-Tregoe 기법 (문제분석,PA)

1. 문제분석, PA (Problem Analysis) 이란 해결을 요하는 문제 가운데 현상의 근본적 원인을 구명할 필요가 있는 문제를 ‘원인문제’라 한다. 이 같은 원인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 가장 효과적이고 논리적인 해결방법을 'PA(문제분석)'이라 한다. ‘PA’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PA Statement’로부터 시작하여 ‘가장 가능성이 높은 원인’을 찾아내고 ‘유효한 대책’을 강구하여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가. PA Statement 나. 명확화 다. 구별점의 발견 라. 변화의 발견 마. 원인의 상정 바. 원인의 구명(검증) 사. 대책의 설정 아. 피드백 체계 수립 ​ ​ 2. PA(문제분석) Process별 내용 ​ 가. PA Statement 이는 문제의 현상이 어떤지 구체적..

Kepner-Tregoe 기법 (상황분석, SA)

KT 문제해결기법은 1958년 미국의 RAND Corporation에서 함께 일하던 Kepner, Tregor 박사가 NASA의 의뢰를 받아 합리적인 문제해결의 절차로 개발한 기법. ​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경영이나 관리활동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4가지 영역으로 분류함. ​ 1. 상황을 파악하는 영역: 상황분석 (SA - Situational Appraisal) 2. 문제발생의 원인을 구명하는 영역(PA - Problem Analysis) 3. 의사결정에 관련된 영역(DA - Decision Analysis) 4. 미래에 발생가능한 문제와 관련된 영역(PPA - Potential Problem Analysis) ​ 1. 상황분석 (SA - Situational Appraisal)이란 일상적으로 직면..

브레인라이팅 기법 (Brain Writing)

■ 개요 Brain Writing 기법은 Brainstorming 기법이 지닌 단점을 보완하기위해 개발된 기법이다. Brainstorming 기법은 자칫 목소리가 큰 사람이나 발언이 많은 사람에게 이끌려갈 가능성이 크다. 발언이 적은 사람이나 내성적인 사람은 자기의견을 충분히 발휘하기가 어렵게 된다. 그렇다고 이들에게 아이디어가 없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독특한 아이디어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Brain Writing은 이 같은 Brainstorming의 단점을 제거하고자 하여 독일의 Holliger가 창안한 기법이다. ■ Brain Writing 기법의 특징 Brain Writing 기법은 초기에는 6-3-5법이라고 불리었다. 6-3-5는 다음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6 : 6인의 참가자가..

브레인스토밍 기법 (Brainstorming)

■ 개요 이 기법은 1940년대 미국의 광고업자 알렉스 오스본이 아이디어를 내기위한 일종의 회의방법으로 고안해 낸것으로서1953년 그의 저서 ‘Applied Imagination ;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Problem Solving’을 통해 널리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Brainstorming이란 말의 원래 의미는 정신병 환자의 두뇌 산란상태를 말하는 것인데 이것이 그의 저서를 통해 회의에서의 아이디어 발산법으로 차츰 바뀌게 된 것이다. ■ Application Guide 문제의 원인분석, 해결안의 도출, 실행계획의 수립 및 평가기준 개발 등 문제해결 전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다. ■ Brain Storming의 규칙 1. 비판엄금 ▶ Brainstorming..

Time Chart

■ 개요 Time Chart는 주어진 기간 동안 일어난 특정 사건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Time Chart는 두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보여줄 뿐 아니라 특정한 상황의 발생을 요약해서 보여주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Time Chart는 시간의 추이에 따른 상황의 변화양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 Application Guide Time Chart는 일정기간 동안 문제상황이 벌어지는 상황에 대한 계량적인 파악을 통해 문제의 원인을 유추해 내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Time Chart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문제해결 과정의 초반기에 문제해결방안의 수립에 도움을 주는 적절한 Data를 수집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Time Chart를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1. 문제해결 초반기에 있어서..

Process Mapping

Process Mapping 기법은 업무 프로세스 상에서 일어나는 제반 활동과 정보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프로세스와 관련된 제반 관리활동 및 개선활동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우선 그 프로세스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 Process Mapping 기법이다. 즉 현재 업무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세부활동의 분석을 통해 개선 필요점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바람직한 업무수행 프로세스를 시각적인 Map으로 그리는 기법이다.

Tree Diagram

Tree Diagram은 ‘Structured Tree 기법’이라고도 불리는 기법으로서 어떤 주제나 문제를 작고, 다룰 수 있는 문제들로 체계적으로 세분화하거나, 문제의 근본원인을 명확히 하기 위해 사용한다. Tree Diagram과 Fishbone 기법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문제해결과정에서 문제를 세분화하고 명확히 정의하는 단계에서는 Tree Diagram이, 문제의 근본원인을 구명하는 단계에서는 Fishbone 기법이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Chart의 완성된 모양이 나무 가지가 뻗쳐 있는 모습과 유사하다 하여 Tree Diagram이라 불리운다. ■ Application Guide Tree Diagram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문제를 체계적으로 세분화하거나 문제의 근본원인을 구명..

Pay-Off Matrix (비용-효과분석)

Pay-Off Matrix는 Ranking Technic 중 하나로서 문제해결 수행 중에 맞닥뜨리는 선택의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이다. Pay-Off Matrix는 팀과 개인의 이슈의 중요성, 최고의 해결안, 실행과정 등에 관한 일관성 있고 목적지향적인 결정을 돕기 위해 전개된다. 이를 활용하면 설명할 필요가 있는 문제에 대해 어떻게 우선순위를 정할 것인지 또는 대안들 중에서 어떻게 최적의 안을 선택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대안은 최소의 노력/비용으로 최대의 성과를 얻는 것이며, 비중이 작은 이슈에 대해서는 아예 시간과 노력의 투입을 하지 않는 것이 될 것이다. ■ Application Guide Pay-Off Matrix는 문제해결의 과정에 서 무언가 선택이 필요한..

성공하는 리더의 5가지 모습

1. 얼마나 많은 부하들을 역량 있는 리더로 육성했는가 (Coach, Mentor) 자신은 훌륭했지만 역량 있는 구성원들을 육성하지 못했다면 그의 리더십은 지극히 사적인 것에 불과하다. “용장 밑에 졸병 없다”는 말과 같이 유능한 리더는 자신 보다 유능한 인재를 육성한다. 코칭과 멘토링이 유행하는 이유는 바로 리더의 재생산을 간절히 원하는 것에 있다. 당신은 지금까지 얼마나 유능한 리더들을 육성하였는가? 2. 조직의 비전과 미션에 얼마나 기여했는가 (High Performer) 성공적인 리더의 모습 속에는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요한 과제들을 찾아내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함으로써 결과를 만들어가는 모습이 있다. 그들은 미션에 충실하고 비전을 통해 미래를 생생하게 구현함으로써 조직의 성과를 만들어왔..

리더십 2021.09.0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