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231

Business Plan 작성 방법 - (2) 시장 및 경쟁

사업계획서 작성의 두 번째 파트는 시장 및 경쟁입니다. “경쟁이 없다면, 아마 시장도 없을 것이다.” ​ 사업을 시행함에 있어서 시장의 규모와 성장성을 고려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합니다. 앞서 정리했던 내용에서도 비즈니스 아이디어가 사업계획으로 이어지기 위해서 평가의 기준이 되었던 것 중 하나가 바로 시장 및 경쟁상황입니다. 시장의 규모는 현재 시장의 규모일 수도 있고, 시장의 잠재력이 될 수도 있습니다. 시장의 규모는 보통 고객의 수, 단위당 판매, 매출액 등의 숫자로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막연히 크다, 좋다, 성장하고 있다는 등의 정성적 표현으로 시장을 가늠할 수 없습니다. 또한 시장의 성장성에 대한 예측도 가능하다면 포함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기술적, 법적 제약 등과 같이 시장의 성장에 영향..

기획_보고서 2021.09.27

Business Plan 작성 방법 - (1) 제품 및 서비스

“If you don’t know what the customer value is, the whole thing is a waste of time.” 사업계획서의 첫 번째 요소는 제품/서비스입니다. 제공하려는 제품/서비스가 현재 시장에 존재하는 혹은 등장할 제품/서비스와 어떻게 차별화되는지를 명확하게 서술합니다. 세부적으로는 제품/서비스 자체를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서비스가 고객에게 주는 가치를 분석하여 기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객의 입장에서 새로운 제품/서비스가 주는 장점 및 단점을 주의 깊게 정리합니다. 만약 기존의 제품/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얻는 가치보다 더 나은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없다면 사업계획은 무의미할 것입니다. 따라서 제품/서비스가 어느 단계까지 개발되어 있는지를 설명하고, 제..

기획_보고서 2021.09.27

Business Plan 작성 방법(Ø) - Summary

“Writing a business plan forces you into disciplined thinking, if you do an intellectually honest job. An idea may sound great, but when you put down all the details and numbers it may fall apart.” 사업계획은 원래 미국에서 창업사(start-up, venture company)들이 개인 투자자들이나 벤처 캐피탈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작성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런 창업 이외에도 기업들이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내부 투자 의사결정을 위해서도 작성하고 있습니다. 사업계획을 통해 신규사업의 타당성을 체계적으로 점검해 보고, 현상 분석을 통해 장애요..

기획_보고서 2021.09.27

Say it with Presentation

프레젠테이션을 시작하기 전에 질문하라. 1. 프레젠테이션의 목표는 무엇인가? 2. 내가 설득하려는 사람은 누구인가? 3. 소요시간은 얼마나 걸리는가? 4. 어떤 매체를 통해 전달할 것인가? STEP 1. 프레젠테이션의 목표를 구체화하라. 1. 한 문장으로 2. 목표는 반드시 현실적으로 3. 행동으로 이어지도록 ​ 목표를 명확화하면? ​ 1. 프레젠테이션이 정말 필요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2. 청중의 관심과 에너지를 집중시킬 수 있다. 3. 청중에게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 알게 된다. 4. 프레젠테이션의 성공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 청중을 분석하라. ​ 1. 누가 결정권자인가? 2. 청중은 프레젠테이션의 자료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가? 3. 청중은 어느 정도의 관심을 가지고 있는가? 4. 무..

프레젠테이션 2021.09.23

HRD 용어 정리 4.

OL(Orienteering Laufen) : 오리엔티어링-주ㆍ야간 극기훈련과정 1850년경 북유럽 지역에서 널리 행하여지고 있는 군사훈련(철후병교련)이 그 원천이 되었고 그것이 다시 스웨덴 보이스카웃의 지도자인 안스트 티란텔에 의해 체계적으로 스포츠화 되었으며, 국내의 경우 1970년 후반부터 도입되었다. 연맹규정에 의하면 “항상 자연을 배경으로 해서 실시하는 것으로 지도상에 표시된 몇 개의 지점을 지도 컴파스를 사용해서 되도록 빨리 통과, 골인해서 판단력, 기억력, 행동력, 문제해결력, 리더쉽, 팀웍을 몸에 익히게 하는 동시에 체력을 단련하는 스포츠이다.” 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Line, Score, Point OL등 여러 종류가 있다. Off-JT(Off the Job Training) OJT와 반..

지식창고 2021.09.22

HRD용어 정리 3.

행동주의(Behaviorism) 직접적으로 경험이나 의식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실증적으로 관찰될 수 있는 생동을 자극→반응이라고 하는 유형으로 분석해서 연구하려고 하는 심리학을 말한다. 1913년 왓슨(Watson)에 의해 제창되어 그 후의 미국 심리학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초기 행동주의는 19세기의 동물심리학의 성과와 생리학자 파블로프의 조건 반사학, 기능주의 등의 영향을 받고 형성되었는데, 주요 특징은 생체의 기능을 ‘행동’을 통해 밝히며, 자연과학적인 방법의 사용, 자극과 반응의 최소단위인 반사 및 조건반사에의 관심 등이며 감각, 감정, 사고의 모든 것이 자극과 반응의 관계로 치환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후 스키너(B.F.Skinner)를 대표로 하는 신행동주의에서는 초기 행동주의의 ..

지식창고 2021.09.22

HRD 용어 정리 2.

강의․강연 "강의․강연이란 어떤 테마에 대해 전문가가 다수의 수강자에게 체계적/이론적으로 정보, 지식, 사고방식 등을 가르쳐 수강자의 이해와 납득을 얻고자하는 것으로 강사, 테마, 수강자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교수법 중에서 가장 널리 보급된 방법이며 강사의 일반적 설명으로 많은 사람을 상대할 수 있고 열의와 태도가 학습 효과를 크게 좌우하는 가장 편리한 방법이다. 그러나 일방적인 지식 전달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다른 기법과의 조합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강의가 주로 협소한 장소에서 일어나는 소수의 수강자와의 2-way식 학습방법이라면 강연은 넓은 장소에서 일어나는 다수의 수강자를 대상으로 하는 1-way식 학습방법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개인개발 개인개발은 한 개인이 현재 직무..

지식창고 2021.09.22

HRD 용어 정리 1.

생애(평생)교육 (Lifelong Education) 제2차 세계대전 이전부터 미국에서 쓰여져 왔으나 그후 유네스코 국제세미나에서 주제로 선정되면서부터 널리 쓰여지게 된 말, 지식, 기술의 급속한 확대, 사회구조의 변화, 여가의 증가, 인간형성과정에서의 생활체험의 필요성 등에서 종래의 청소년기에만 집중되던 학교교육의 모습에 반성이 일어나기 시작하고 그 가운데서 인간의 생애 전기간에 걸쳐서 교육을 효과적으로 분산 시켜서 하려는 생각이 널리 펴졌다. 생애교육은 이런 생각들을 말하는 것인데, 관점을 바꿔 말한다면 나이, 경험에 관계없이 항상 교육을 받을 기회를 갖지 않으면 얼마되지 않아서 자기의 능력이 퇴화되어 버린다는 것을 일러주고 있다. 수행공학 : HPT(Human Performance Technolog..

지식창고 2021.09.22

양자선택 매트릭스 (Paired-choice Matrix)

■ 개요 ​ Paired-Choice Matrix는 ‘Paired Comparison’, 또는 ‘양자선택 매트릭스’라고도 불리우는 기법으로서 문제해결 팀이나 개인이 선택대안으로 제기된 각 안에 대한 자신들의 선호도를 계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법이다. Paired-Choice Matrix 기법은 잠재적 해결대안들로 제기된 각각의 안들을 서로 하나씩 비교해 나가면서 팀원들의 토의와 Voting을 통해 선택안을 좁혀나가며 최종적으로 한 개의 안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 이 기법의 장점은 수많은 해결대안들 중에서 하나를 고르도록 강제하는 데에 강점이 있다. 비교대상의 두개의 안이 동일하다고 생각되어도 팀원들은 한 개의 안을 선택해야만 된다. 이같이 강제적으로 선택을 하도록 하는 상황이 때..

GE의 핵심 인재 양성 - 7. 핵심 인재 육성의 Best Practice

2006월 2월 「포춘」은 ‘최고의 리더가 되는 데 필요한 자질과 유명 CEO를 배출한 회사들’을 소개했다. 그런데 그 내용이 다소 충격적이다. 다국적 기업의 유명한 CEO들의 자질을 종합한 결과 그들의 특성은 남녀를 불문하고 4가지로 요약된다. ① 창의력 ② 불손한 자만심 ③ 무한한 에너지와 열정 ④ 냉혹한 결정 ①, ③번은 그렇다 쳐도 ②, ④번은 오히려 다른 사람과의 대인 관계를 해치는 요소이기에 지양되었던 자질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사실은, 이런 자질을 CEO의 가장 중요한 특성으로 요약할 수 있게 만든 CEO들이 GE, P&G, IBM, GM, 코카콜라, 모토롤라와 같은 유명 기업들의 CEO이며, 그들이 모두 이 시대 최고의 리더라는 것이다. 이는 중간급 리더와 최고직급의 리더에게 필요한 자질과..

리더십 2021.09.15
728x90